Category히어링정보 (55)

벨톤보청기 리치_이명과 난청을 동시에 해결하는 효과적 방법

이명(Tinnitus)은 확실한 치료법이 많지 않습니다. 원인질활이 명확하지 않을 경우 한의원에서 보약을 먹는 방법도 생겨서 최근 다수의 한의원에서 이명치료를 홍보하기도 합니다. 그렇지만 현재까지 임상적으로 가장 효과적인 방법으로는 소리치료 방법이 최선인듯 합니다. 소리치료의 핵심은 몸 내부에서 나는 소리를 없애는 것이 아니라 습관화(Training)를 통해 소리를 인지하지 못하게 하는 것입니다. 즉, 이명으로 인한 고통이 얼마나 되는지 설문을 통해 수치화하여 지속적인 소리치료를 하게되고, 시간이 지나면서 변화하는 수치를 확인하는 방법이며, 궁극적으로 이명에 따른 고통의 인지가 없어지면 치료가 완료되는 것입니다. 이명 환자마다 차이가 있지만 평균적으로 6개월에서 2년정도 긴 재활의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이명차폐기+보청기로 소리를 잡는다.[조현난청연구소]

귀에서 나는 소리, 이명! - 소리를 소리로 잡을 수 있습니다. 재활기간에 따른 이명의 크기 (재활기간이 길어질수록 이명의 크기가 점점 줄어듭니다.) 벨톤보청기프로 이명재활프로그램 안내 벨톤보청기프로에서 시행하는 이명재활프로그램은 이명의 소리를 없애는 것이 아니라 이명을 인식하지 못하도록 하여 이명의 불편에서 해방시켜 드립니다. 1단계: 상담 및 재활시작 개인마다 차이가 있지만, 이명재활 기간은 최소 6개월 이상이 소요됩니다. 이명재활을 통해 귀에서 나는 소리가 없어지는 것이아니라 정상적인 사람이 주방에서 냉장고소리를 집중해서 듣지 않는한 불편함을 모르듯이 차츰 재활을 통해 이명을 인식하는 시간이 줄어들게 되는 것입니다. 꾸준히 재활을 시행하여 습관이 될 경우 고생고생하던 이명의 고통을 없앨 수 있습니다..

소리치료법, 외부의 소리로 이명을 줄여주는 방법

1. 보청기(Hearing Aids) -주위의 소음을 증폭시켜 이명을 차폐시키는 효과가 있습니다. 낮은 주파수 (3kHz이하)에서의 청력감소가 있는 환자에서 효과가 있고, 주로 난청이 있는 환자에게 권합니다. 090613-10909xx-bw by Waifer X 2. 이명 차폐기(Tinnitus maskers) -지속적인 낮은 대역잡음을 발생시키는 기계를 사용자에 맞춰 설정하여 주로 정상청력을 가진 환자에게 권합니다. 3. 음악 치료법(Music therapy) -인위적인 잡음을 들려주는 대신 클래식 등 안정을 줄 수 있는 음악을 지속적으로 들려주는 치료법입니다.

이명 환자에게 있어서 보청기의 효과 [조현난청연구소]

이명은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중추신경계 및 정서와 깊은 연관성을 가지기 때문 에 그 치료가 어렵습니다. 음향치료(acoustic therapy)는 이명의 치료에 있어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이 방법은 보청기 또는 소리 발생기를 사용함으로써 외부의 음자극을 증가시켜 환자로 하여금 이명의 인지를 낮추게끔 합니다. 효과적인 보청기 처방과 이를 통한 일반적인 난청의 개선, 즉 이득(benefit)과 환자의 주관적 만족감(satisfaction)에 대해서는 여러 연구가 진행됐습니다. 또한, 많은 수의 난청환자들이 이명을 호소하고 있으며 음향치료의 하나로써 보청기가 이용되고 있는 것을 고려할 때 이명을 동반한 난청환자에서는 보청기에 대한 주관적인 만족도에 보청기 착용 후 이..

국민기초생활보장수급자 현황 및 보청기구입 절차 [조현난청연구소]

2011년 12월말 기준으로 국민기초생활보장수급자는 약 147만명(85만1천가구)으로 전 인구 대비 국민기초생활수급자의 비율인 수급률은 2.9% 정도됩니다. (보건복지부 통계) 수급자의 종류별로 보면 일반수급자가 93.9%, 시설수급자가 6.1% 입니다. 수급자의 비율을 연렬별로 보면 중년기가 35.9%로 가장 높으며, 노년기 27.4%, 청소년기 19.8% 순이며, 영유아기는 1.8% 입니다. 총 인구수 대비 수급자 비율은 노년기가 6.6%로 가장 높은 반면 청년기가 가장 낮은 1.1% 입니다. 이는 노년기의 경제 자립도와도 무관하지 않으며, 수급자 중 청각장애 등록이 되어 있는 분들은 보장구(보청기) 구입 시 34만원의 비용을 보전받게 됩니다. 34만원이 넘어가는 보청기를 구입하고자 한다면 자비로 보..

포낙 FM시스템 보청기 [조현난청연구소]

조용한 곳에서 보청기 또는 인공와우 착용자는 비교적 잘 들을 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시끄러운 곳에서의 말소리는 주위의 소음 때문에 잘 들리지 않죠. 일반적으로 난청 아동의 경우 학교에서 수업을 할 때 선생님의 말소리에만 집중하기에는 일상적인 소음이 크다보니 수업에 집중하는데 어려움이 있습니다. 그래서 얼마전부터 학교 수업 시 FM무선 송수신기를 이용하여 난청 아동이 보다 명료하게 선생님의 소리를 들을 수 있도록 지원하기 시작했습니다. 최근 센터에 난청아동이 방문하여 보청기와 호환되는 FM장비에 대해 설명을 해드렸는데, 자세한 설명이 부족해 관심있는 많은 분들이 볼 수 있도록 FM시스템에 대해 간단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FM시스템은 포낙 FM시스템입니다. FM..

벨톤보청기 트루(True) TV링크 [조현난청연구소]

TV와 중계기 없이 보청기로 직접 소리가 전달되는 벨톤 True 보청기를 제대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TV에 TV링크라는 송신장치를 연결해야 합니다. TV링크도 중계기라고 할 수 있는데, 송신 중계기는 무선 송수신이 되는 모든 제품에 필수적으로 있어야할 장치고, 그 송신 되는 소리를 수신하기 위해 필요한 수신 중계기가 반드시 필요한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수신 중계기는 목에 거는 제품, 리모컨 형식으로 몸에 지니고 있어야 하는 제품 등 보청기를 착용하고 수신 중계기를 몇 미터 이상 떨어지지 않고 가지고 있어야 되는데, 벨톤 True는 그러한 수신 중계기가 없어도 된다는 것입니다. 송신장치에서 바로 보청기로 직접 수신이 되기 때문에 송신기와 수신기를 연결(페어링)한 후 다시 보청기로 연결하는 과정이 벨톤 Tru..

중이검사(Immittance) [조현난청연구소]

중이검사(이미턴스검사, immittance audiometry)는 외이도(외부 귓구멍)를 밀폐한 상태에서 외이도의 압력을 변화시켜 특정 주파수 및 강도의 소리에너지를 보내고, 고막에서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에너지를 분석해서 중이의 상태를 간접적으로 측정하는 검사방법입니다. 이러한 중이검사의 종류에는 고막운동성검사(tympanometry), 등골근반사역치검사(음향반사역치검사, acoustic reflex threshold), 음향반사피로검사(acoustic reflex decay) 및 이관기능검사(E-tube function test) 등이 있습니다.

전음성난청 [조현난청연구소]

전음성난청 (Conductive Hearing Loss) - 외이나 중이에 이상이 생겨서 발생하는 청력손실의 경우 전음성난청입니다. - 모든 주파수에서 골도 청력검사는 정상이지만, 기도 청력검사가 낮아진 경우 전음성난청입니다. (청능사 또는 의사가 판단) - 중이염 등으로 인하여 생긴 난청의 경우 전음성난청입니다.

감각신경성 난청 [조현난청연구소]

감각신경성난청 (Sensory Neural Hearing Loss) - 귀 가장 안쪽인 내이에 이상이 생겼을 경우 나타나는 난청형태 입니다. - 기도(헤드폰)와 골도(골전도) 청력이 모두 같은 정도의 손실이 있는 경우 감각신경성 난청입니다. - 소음성 난청, 노인성 난청 등 내이 안의 유모세포의 손상에 따른 난청을 감각신경성 난청이라고 합니다.

청능사 직업소개 [조현난청연구소]

장애인재활치료 및 장애아동발달재활서비스 전문인력 자격기준강화 토론회

장애인 재활치료와 장애아동 발달재활서비스의 전문인력 자격기준 강화와 서비스 제도개선을 위한 정책토론회 일시: 2012.3.27(화) 14:00 장소: 국회의원회관 소회의실 주최: 국회의원 강명순 - 청능사자격검정원, 대한작업치료사협회, 대한물리치료사협회, 한국청각언어재활학회, 사단법인 전국장애인부모연대, 심리행동재활사협의회 우리나라의 장애인 재활치료는 지난 20여년의 시간동안 학술적으로 그리고 법률적으로 장애인교육과 장애인복지 그리고 의료영역에서 다양한 명칭과 내용으로 혼란스럽게 규정되어 있었지만, 실질적으로 재활치료가 중요한 사회적 의제로써 대두되기 시작한 것은 2007년에 보건복지부의 장애아동재활치료 바우처사업이 시행되면서 부터입니다. 장애아동재활치료서비스의 범위와 서비스대상자의 선정기준 그리고 서비..